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균사체 가구란? – 기본 개념과 역사, 원리 설명

by kjgsh 2025. 4. 15.

균사체(Ai생성이미지)
균사체(Ai생성이미지)

균사체 가구란? – 기본 개념과 역사, 원리 설명

 

버섯의 ‘뿌리’로 흔히 오해되는 균사체(mycelium)는 사실 버섯이라는 과실체(fruiting body)를 지탱하고 영양분을 흡수·분해하는 미세한 실 모양의 균사(hyphae)가 모여 그물망처럼 형성된 구조를 뜻합니다. 이 그물망이 토양·목재·콩기름 찌꺼기 등 다양한 유기물에 뻗어나가 영양분을 분해·흡수하면서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서로 교차·결합해 단단한 네트워크를 이룹니다.

균사체는 전통적으로 농업·환경 복원(토양 개선, 오염 물질 분해)·의료(항생제, 면역 조절 물질) 분야에서 주목받아 왔지만, 최근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소재 연구가 친환경 소재 개발 트렌드와 맞물려 가구·패키징·건축 자재 등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1. 균사체 가구의 탄생 배경과 역사

  1. 초기 연구 및 산업화 시도
    • 2000년대 초반 MIT 미디어랩 등에서 ‘균사체를 이용한 생체 모방 소재’ 연구가 시작되며, 식품 부산물(곡물 껍질, 커피 찌꺼기 등)에 버섯균을 접종해 성형·건조한 시제품을 개발.
    • 2010년대 중반까지는 포장재(스티로폼 대체)·단열재 분야가 주를 이뤘으나, 재료 강도·표면 마감 한계로 상업화에 일부 제약 존재.
  2. 가구 분야로의 확장
    • 2018년경부터 디자인 스튜디오와 스타트업들이 ‘균사체 가구’라는 콘셉트를 제시. 초기 프로토타입 의자·테이블·스툴 등이 국제 디자인 전시회에서 소개되며 주목받음.
    • 네덜란드의 ‘Ecovative Design’, 미국의 ‘Mushroom® Packaging’ 등이 앞장서 균사체 소재의 산업화 및 상용화를 추진, 이후 다양한 협업 프로젝트로 영역을 넓혀감.
    • 국내에서는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몇몇 디자인 대학·공방에서 시제품 워크숍을 개최하며 DIY·소규모 제작자 커뮤니티가 형성 중.

2. 균사체 가구의 원리와 제작 과정

  1. 재료 준비
    • 기질(Substrate): 곡물 껍질, 톱밥, 커피 찌꺼기, 농업 부산물 등.
    • 접종균(Inoculum): 버섯균 균사체를 배양한 ‘스폰’(spawn) 형태로 구입 혹은 자체 배양.
  2. 배양 및 성형
    • 기질과 접종균을 일정 비율로 혼합 후, 멸균 처리된 금형(mold)에 채워 넣음.
    • 온·습도·통기 조건이 조절된 배양실(또는 밀폐 박스)에 배치해 균사가 기질을 완전히 뒤덮도록 5~10일간 배양.
    • 이 과정에서 균사는 기질 입자 사이를 채워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점차 단단한 덩어리로 굳어감.
  3. 건조 및 열처리
    • 배양이 완료된 후, 금형에서 분리해 60~80℃에서 수분을 제거하며 건조.
    • 추가로 열처리(멸균) 과정을 거쳐 남은 생균을 제거하고, 재료 강도와 내구성을 높임.
  4. 마감 및 후처리
    • 표면을 사포로 다듬거나, 천연 오일·바니시·친환경 페인트 등으로 마감 처리.
    • 필요한 경우 목재·금속 프레임과 결합해 하이브리드 가구 형태로 제작 가능.

3. 균사체 가구의 특징 및 장점

  • 친환경성: 100% 생분해 가능하고,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으며, 폐기 시 토양으로 되돌릴 수 있음.
  • 경량성·단열성: 내부가 기공 구조로 이뤄져 있어 가볍고, 열·소음 차단 효과가 뛰어남.
  • 유연한 디자인: 금형만 바꾸면 다양한 형태·텍스처 구현 가능. 자연스러운 유기적 패턴이 디자인 요소로 활용됨.
  • 저비용·자원 재활용: 농업·식품 공정 부산물을 기질로 사용해 원가 절감 및 자원 순환 촉진.

결론 : 앞으로의 전망과 도전 과제

  1. 강도 및 내구성 개선
    • 균사체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혼합물(친환경 바인더, 나노 셀룰로오스 등) 연구 활발.
  2. 대량 생산·공정 표준화
    • 균일한 품질 확보를 위한 자동화 배양 설비 개발과 품질 관리 프로토콜 수립 필요.
  3. 디자인·상업화 전략
    •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전시·체험 마케팅,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한 시장 확대.